예전부터 전세값이 조금씩 올라 집값대비 전세값이 상당하고
심지어 집값보다 전세값이 더 높게 형성되기도 하는데 이를 두고
정부에서 나서서 전세값을 잡아달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데 가능 할지 써볼려고 한다.
전세란?
일정한 보증금을 집주인에게 맡긴뒤 부동산을 빌려쓰고 계약기간이 끝나면 보증금을
돌려받고 부동산을 돌려주는 형식인데 전세계에서 한국을 포함한 몇몇 국가만 있는
아주 독특한 주거방식이면서 돈을 주고 쓰는 임차인이 유리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지
![]() |
전세, 매매 상승률 |
a)
전세, 매매가는 꾸준히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면서 상승 해왔는데
최근에는 매매가보다 전세가 상승률이 더 커졌기에 전세 수요자들은 불만이 나올꺼야
그러면 전세가를 잡을 수 있을까?
먼저 전세가 생겼던 이유를 알아보도록 해
대출 3000 전세 2000 넣어버리면 5000으로 1억 짜리 집을 살 수 있고
집값 상승분은 임차인의 이득이 되는거야
어?? 전세금을 은행에 예치해서 이자 받아먹는거 아니였어요??
빚 없이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 다 주택자의 경우 이자와 집값 상승을 노리는 것이고
투자의 경우 최대한 비싼매물을 사야 최대의 효과를 누릴 수 있어 틀린 말은 아니지만
주된 목적은 집값상승이라는 기대감이 있기에 전세가 나온거야
그러면 간단하게
수요와 공급, 이자의 관점에서 전세값을 알아보자
전세는 집값상승이라는 기대감에 존재한다고 했지?
1. 주택공급 수를 줄이면 집값이 올라가고 그 기대감에 전세가 생기겠네요?
-주택공급을 줄이면 집값상승으로 이어져서 실 수요자에게 부담이 되
2. 그럼 이자를 올리면 전세금을 은행에 예치 할려고 할테니 전세가 늘어 나겠네요?
-부동산, 동산은 유기적인 관계야 금리가 올라가서 동산 자산이 선호되게 된다면
부동산의 돈이 빠져서 동산에 몰리게 되고 부동산가격의 전체적인 하락으로 인해
빚을끼고 집을 산 사람은 손해를 보게되어버려
-수정중-